
1. Dropbox site(http://www.getdropbox.com)로 가면 위의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download dropbox를 선택해서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2.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처음 설치하는 것이면 I'm new to Dropbox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3. Dropbox에서 사용하는 계정을 만들어 준다. 필요한 정보를 넣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4. 계정이 만들어졌다. 간단한 설명을 보려면 다음으로 넘어가면 되고 바로 끝내려면 'Skip tour and finish'를 눌러주면 된다.

5. 여기서 'Finish and go to My Dropbox'를 눌러주면 설치는 종료된다.


6. 설치가 끝나면 윈도우 오른쪽 아래에 Dropbox 아이콘이 생기고 탐색기를 열어보면 자신의 Documents 폴더에 My Dropbox라는 폴더가 생긴다.

7. My Dropbox 폴더로 들어가 보면 기본적으로 저 3개의 항목이 들어가 있다. 이제 저 폴더도 그냥 내 하드디스크에 있는 폴더와 마찮가지로 사용하면 된다. 최대 2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일반 폴더와 다른점은 이 폴더에 넣은 내용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게 아니고 자동으로 웹 디스크에 저장되기 때문에 인터넷만 사용할 수 있는곳이면 어디서든지 파일을 억세스 할 수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용량도 2GB로 상당히 큰 편이기 때문에 작업파일을 굳이 USB 메모리에 넣어 들고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다른 웹하드에 비해 장점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필요 없이 그냥 일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되고 윈도우 뿐 아니고 맥/리눅스에서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공용 컴퓨터라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웹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된다.

8. 화면 오른쪽 아래의 Dropbox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나온다. 여기 보면 현재 얼마를 사용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해놓은 web interface를 선택하면 웹 브라우져가 열리고 웹 브라우져에서 직접 파일을 관리할 수도 있다.

9. Web interface로 열어 본 화면이다.

10. 특정 파일에 대해 복사, 삭제등을 하려면 마우스를 파일로 가져다 대면 그 파일이 선택되고 오른쪽 끝에 역삼각형 아이콘이 생긴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풀다운 메뉴가 열린다.

11. 여기서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면 된다.

12. 기본적으로 모든 폴더는 본인 혼자만 사용(보기, 읽기, 쓰기 등등) 할 수 있다. 하지만 public 폴더는 아무나 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파일을 보내줘야 할 때 유용하다. Public 폴더에 들어있는 파일의 역삼각형을 눌러 나오는 풀다운 메뉴를 보면 11번 화면에 비해 'Copy public URL' 이라는 항목이 추가되어 있다. 이걸 선택하면 이 파일의 웹주소가 복사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메일이나 메신져에 이 내용을 붙여넣기 해 주면 다른 사람이 이 주소를 이용해서 파일을 읽거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13. 또한 dropbox 사용자끼리는 폴더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유폴더는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마음대로 파일 생성, 삭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여러 사람이 공동작업을 하는 경우 공유폴더를 이용하면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공유폴더를 만들려면 'Share'를 선택하면 나오는 오른쪽 화면에 필요한 정보를 넣어주면 된다.

14. 위의 단계에서 공유하기를 원하는 사람의 이메일 주소로 이런 초대장이 발송된다. 공유를 하겠다면 표시된 링크를 눌러주면 된다.

15. 그러면 웹 브라우져에 이런 정보가 표시되고 허용할건지 거부할건지 물어보게 된다. 허용하려면 'accept'를 선택해주면 된다.

16. 공유를 허용해주면 초대한 쪽과 초대받은 쪽 모두 공유폴더가 만들어진다. 이 폴더의 내용에 변경(파일/폴더 생성, 삭제, 파일 변경 등) 이 생기면 그게 바로 상대방에게도 반영된다.